글목록(작동안됨)

2018-06-01

[FTB모드팩 싱글 일기] 1-4 자동화

FTB모드팩 싱글 일기


1기 4화

-자동화-



FTB Infinity Evolved 3.0.2 (모드팩)
외 몇가지 모드를 추가해서 플레이중입니다








저번에 만든 엔더쿼리에 전기랑 캐낸 아이템을 가져와 봅시다

써멀익스펜편에는 테서랙트라는 기계가 있습니다
아이템, 액체,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 해주는 기계죠





조합법은 이렇습니다 무선전송류는 엔더진주를 많이 쓰네요





다음으로 이 네모 박스 안에 녹인 엔더진주를 넣어줍니다
얘도 써멀기계





ㅎㅇ

이 엔더맨은 보통 엔더맨과 다르게 쳐다봐도 때리지 않고
크리퍼를 쫒아내는 능력도 있습니다

죽이면 엔더진주와 엔더진주 조각을 줬던걸로





암튼 다시 테서랙트로 돌아와서
속을 채운 테서랙트에 브-론즈와 다른금속을 조합해주면 완성입니다!





테서랙트 GUI
작은칸에는 주파수를 아래는 이름을 집어넣으면 됩니다

옆에 설정은 뭘 받고 뭘 줄것이냐인데
얘는 집에 둘꺼라 에너지는 보내고, 아이템은 받는 설정으로 해놨습니다






이렇게 발전기 앞쪽에 달아줬습니다

엔더쿼리는 전기를 많이 먹기 때문에
발전기 2개로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더 만들어서 달아준 모습

나중에 4방향으로 달면 무슨 엔진모양같이 생겨서 멋집니다





이런식으로 말이죠(싱글에서 크리에이티브모드로 만든 거에요)
멀티블럭 같이 생겼네요






저번화에서 말했듯이 엔더쿼리는 블럭을 직접 캐는 게 아니라
기존의 블럭을 흙으로 바꿔서 캐기때문에 채굴한 곳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쿼리에 업그레이드를 달아주려고합니다
먼저 업그레이드가 들어갈 베이스, QED에서 만듭니다





그다음 쓰레기통과 쿼츠를 조합하면 됩니다

속도업그레이드나 행운 인첸 업그레이드 같은건 에너지를 추가로 잡아먹기도 합니다
이건 그대로네요




다음에 캐온 광물과 돌덩이들을 넣을 임시 저장소를 만들겠습니다




뽑아내는 파이프랑




다이아상자 상자를 광물을 이용해서 업그레이드하는 모드입니다
보통 네트워크를 먼저하는지라 하드코어 모드팩같은게 아니면 잘 만들지 않죠..




들어가는 광물값은 합니다




이제 다만들었으니
광산월드에 가서 설치해줍시다

업그레이드는 옆에 달아주시면 됩니다

엔더마커 설치하는 장면이 없는데
사각형의 모서리중 3개만 설치하면 경계로 인식합니다







이런식으로 말이죠

암튼 위에 영어는 캘 가장자리를 제대로 인식했다는 메세지입니다






참 말을 안했는데 테서랙트는 양쪽에 1개씩 있어야 작동합니다
수신 송신은 설정에서 바꾸면 되고요

아무튼 엔더쿼리 위에 설치하면 알아서 전기를 먹고 캔 아이템을 보냅니다





집에와서 연결한 다이아체스트를 보니 아이템이 들어오고 있네요

성공!





근데 에너지가 부족합니다

사진이라 잘 안보이긴 하지만 계속 줄어들고 있었습니다





발전기 만들 기어 제작

사실 철 1개만 더 쓰면 용광로에 녹였다가 틀에 부었다 하는 노가다를 줄일 수 있지만
아직은 자원이 궁한지라 여기에..







아직 임시 저장소에 저장중이라 코블스톤이 넘치네요

엑스트라 유틸리티에서는 압축 코블스톤이라는걸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저걸 한 8번인가 9번인가 까지 압축 할 수 있죠





두번 압축된 코블스톤





녹은 인바를 부어줍니다

말했나 모르겠는데 이 인바라는 광물은 철과 페리우스(니켈)의 합금 입니다


(위키피디아. invar)

실제로 있는 합금입니다

열팽창률이 극도로 낮아 정밀기계에 쓰이는 합금이라나





그새 엄청나게 캤네요





이제 광물도 많겠다
제트팩 업그레드를 해보겠습니다
지금 쓰는건 베터리 용량이 적어서 충전을 자주 해야되거든요





다음티어 제트팩
주로 일렉트로늄이 들어가네요
금과 은의 합금입니다




추진기는 우리가 쓰는 용암발전기랑 녹은 레드스톤, 전기파이프등이 들어가네요
별로 어려운 재료는 없네요!





완성!





제트팩도 만들었겠다 확인차 와본 채굴현장

보시는것처럼 땅을 파버립니다





이런

빨리 처리할 방법을 찾아야겠네요





위에 있는 베럴들
한종류의 아이템만 들어가는 대신 엄청나게 많은 양을 넣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이것들을 이용해서 어떻게 해야겠네요





우선 코블스톤은 베럴에 넣어도 양이 너무 많기때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요 기계는 자동조합기입니다
설계도를 넣으면 그 설계도에 맞게 엄청난 속도로 조합을 해주죠





그리고 이건 설계도를 기록할 수 있는 조합대입니다

일반조합대로 써도 괜찮구요




옆쪽에 달아줬습니다

자동조합기는 1대당 1개의 레시피만 적용할 수 있기때문에
코블스톤을 계속해서 압축하려면 이렇게 일렬로 늘어놓는게 좋죠

참 들고있는게 설계도입니다




워크벤치에서 이런식으로 설계도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깃털과 설계도가 있는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설계도에 그게 기록됩니다





한번 압축된 코블의 설계도

기록되면 저렇게 뜹니다





이게 한 몇초 사이에 찍은겁니다

상당히 빠르죠





코블스톤은 어느정도 정리되었네요

나머지는 일단 손으로 옮기는 중인데

생각해보니 사탕수수가 자동화가 안되어 있더라고요

바로 만들러 갑니다




예전에 만든 회로 인쇄기입니다

네트워크 모드랑 결합하면 좀더 간결하게 만들 수 있지만 전 이게 좋네요
나중에 필요한 양이 많아지면 그때나 만들어보죠

암튼 회로가 필요하니 만들어 줍니다





요 검정색 패널은 네트워크랑 연결되서
바로 앞에 놓인 블럭을 네트워크로 넣습니다

사탕수수가 자라면 부숴서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넣는거죠





이렇게 연한 파티클 효과와 함께 들어갑니다






슬슬 네트워크 체널이 부족해 질것 같으니 체널을 늘릴 수 있는
ME컨트롤러를 만들어 봅시다

먼저 수정을 키워봅시다
이 모드는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물을 굉장히 좋아합니다

석영류를 모래랑 조합해서 씨앗을 만든후 물에 넣으면 자랍니다
2배로 불리거나 이런식으로 키워서 만든 석영은 따로 조합에 쓰는 경우도 있죠

그냥 물에 넣으면 더럽게 안자라기 때문에
옆에 보라색으로 반짝이는 결정가속기(?)를 달아주면 빨리 자랍니다






이게 ME컨트롤러입니다
각 면마다 체널을 8개씩 쓸 수 있습니다

체널은 이 모드 기계들이 연결되 있을때 기계당 하나씩 사용하는 자원같은건데





스마트 케이블이라는걸 쓰면
이런식으로 짙은 푸른색과




밝은 보라색으로 표시됩니다

일반 케이블은 8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 케이블에 연결된 기계가 8개가 넘어가면 시스템 전체가 중지되죠..

그래서 체널을 늘리려면 요 ME컨트롤러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무지개색으로 빛나요





+아까 발전기 늘린거랑 체스트






좀 지나다 보니 코블스톤 전송 속도가 좀 느려서 업그레이드

다이아 체스트 앞 트렌스퍼 노드(빨간점 박힌데)에 넣으면 빨라집니다






사탕수수 자동화도 한김에 찱흙도 자동으로 만들어 봅시다

요건 방식이 좀 특이한데 우선 갑옷을 만들어야 합니당
갑옷 설계도에 적어주시구










저번에 한 말이 현실이 됬네요
ㅋㅋㅋㅋㅋㅋ

조용히 조합중에 갑자기 나타난 크리퍼에 당했습니다








전기화로는 날라갔네요

빨리 지붕보수부터 해야... ㅠ





얼른 복구

한김에 광물 가는것도 하나 만들었습니다
딱히 필요는 없지만요 아마..도...?






다시 찰흙 자동화로

요 자동화에는 인덕션 스멜터가 들어갑니다







스멜터에 갑옷류랑





모래를 넣으면




요렇게 슬래그가 나옵니다

요 조합법은 전에 썼던 갑옷이나 무기류 분해하는 거라
아까 위쪽에 있던 자동조합기는 주괴로 분해된 갑옷을 다시 조합해줍니다





그리고 나온 슬래그로 이렇게 조합하면 됩니다

써멀모드 자동조합이 좋은게 액체도 자동으로 조합되는게 좋더라구요





옆에다가 붙여줍니다

재료공급용 상자도 붙이구요





설계도를 넣으면!






생산라인 만들때마다 팩토리오 하는거같네요
다만들면 할꺼 없는거같이 느껴지는것도 똑같구





한김에 쿼리에서 퍼오는것도 네트워크로 바로 넣어봅시다

다른건 상관없는데 흙이나 자갈 같은건 디스크에 자리를 너무 많이 차지하니
아까 위에 있던 베럴을 옮겨서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될것같네요





베럴은 손수레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만들어서





이렇게 들고 갑니다

요거 모델링 되있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리고 밑에 스토리지버스를 달아주면 베럴을 디스크로 인식합니다






그 다음에 스토리지버스 우선순위를 올려줍니다

숫자가 높을 수록 그 상자나 디스크에 우선적으로 들어갑니다





이 칩같이 생긴건 AE 기계들에 여러가지 기능 추가나 업그레이를 할 때 씁니다





요건 속도 업그레이드





아까 다이아 체스트에 붙여놓은 버스에 넣어줍시다

빼내는 속도가 느려서 계속 쌓이더라고요

그리고 아까 코블스톤 자동조합기도 네트워크에서 빼오도록 만들어보죠

그냥 이어놓으면 건축이나 다른데 쓸 코블까지 써버리면 안되니
레드스톤으로 적당량 쓰면 그만 쓰게 해보죠







토글버스는 스위치 역할을

레벨 이미터는 네트워크에서 수량을 읽어서 레드스톤신호를 보냅니다

액스포트 버스는 네트워크에서 물건을 빼오는 역할이구요






안에 빼올 아이템을 설정해줍니다






그다음 레벨 이미터에 코블이 1000개 이하가 되면 불이 꺼지도록 해놉니다






이렇게 세팅

불이 꺼지면 옆에 토글버스가 꺼지면서
자동조합기에 코블이 안들어갑니다





드라이브도 좀 늘리구요





많이 캐는것들은 이렇게 베럴이랑 스토리지버스로 옆에 따로 보관해줍니다


이제 자동화는 어느정도 됬네요

 당분간은 냅둬도 되겠네요






아까 전같은 크리퍼 기습테러를 막고자 지옥유적 부수러 왔습니다

지붕 재료가 지옥벽돌이거든요

참 여긴 저번에 해가 2개 뜨던 사막월드입니다
언제와도 신기한 느낌






지붕 보수 끝!


아직 앞부분은 그대로지만 뭐 언제가는 완성되겠죠..?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

가장 많이 본 글